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여자 1000m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여자 1000m 경기는 2022년 2월 9일부터 11일까지 진행되었다. 네덜란드의 쉬자너 스휠팅이 금메달을, 대한민국의 최민정이 은메달을, 벨기에의 하너 데스멋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쉬자너 스휠팅은 준결승에서 세계 신기록과 올림픽 신기록을 동시에 경신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 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5000m 계주
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5000m 계주는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세부 종목으로, 캐나다가 금메달, 대한민국이 은메달, 이탈리아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 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1500m
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1500m는 예선, 준결승, 결승으로 진행되었으며, 황대헌이 금메달, 스티븐 뒤부아가 은메달, 세묜 옐리스트라토프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 올림픽 쇼트트랙 - 2018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2018년 2월 10일부터 22일까지 평창에서 개최된 2018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은 남자 500m 우다징 금메달, 여자 3000m 계주 대한민국 금메달 등 다양한 기록이 나왔으며 총 8개의 금메달을 놓고 경쟁이 펼쳐졌다. - 올림픽 쇼트트랙 - 2014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에서는 빅토르 안의 활약으로 러시아가 강세를 보였고 박승희의 금메달과 여자 3000m 계주 금메달로 대한민국이 쇼트트랙 강국임을 입증했다. - 2022년 동계 올림픽 여자 종목 - 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5000m 계주
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5000m 계주는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세부 종목으로, 캐나다가 금메달, 대한민국이 은메달, 이탈리아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22년 동계 올림픽 여자 종목 - 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여자 500m
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여자 500m는 2월 5일 예선전을 시작으로 2월 7일 결승에서 아리안나 폰타나(이탈리아)가 금메달, 쉬자너 스휠팅(네덜란드)이 은메달, 킴 부탱(캐나다)이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예선에서 쉬자너 스휠팅이 올림픽 기록을 경신했다.
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여자 1000m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여자 1000m | |
연도 | 2022년 |
종류 | 동계 올림픽 |
종목 | 쇼트트랙 |
세부 종목 | 여자 1000m |
개최국 | 중화인민공화국 |
개최지 | 베이징시 |
경기장 | 국가 스피드 스케이팅 체육장 |
기간 | 2022년 2월 9일, 2월 11일 |
참가 선수 | 32명 |
참가국 | 14개국 |
금메달 | 쉬자너 스휠팅 |
금메달 국가 | NED |
은메달 | 최민정 |
은메달 국가 | KOR |
동메달 | 하너 데스멋 |
동메달 국가 | BEL |
이전 대회 | 2018년 |
다음 대회 | 2026년 |
2. 경기 일정
경기 시간은 중국 표준시 (UTC+8) 기준이다.[1]
날짜 | 요일 | 시간 | 구분 |
---|---|---|---|
2022년 2월 9일 | 수요일 | 19:44 | 여자 1000m 예선 |
2022년 2월 11일 | 금요일 | 19:00 | 여자 1000m 준준결승 |
19:57 | 여자 1000m 준결승 | ||
20:38 | 여자 1000m 결승 B | ||
20:42 | 여자 1000m 결승 A |
2. 1. 경기 세부 정보
경기 시간은 중국 표준시(UTC+8) 기준이다.[1]날짜 | 요일 | 시간 | 구분 | 비고 |
---|---|---|---|---|
2022년 2월 9일 | 수요일 | 19:44 | 여자 1000m 예선 | |
2022년 2월 11일 | 금요일 | 19:00 | 여자 1000m 준준결승 | |
19:57 | 여자 1000m 준결승 | |||
20:38 | 여자 1000m 결승 B | |||
20:42 | 여자 1000m 결승 A | 금메달 결정전 |
대회 전까지의 세계 기록과 올림픽 기록은 다음과 같았다.
3. 기록
이번 대회에서 다음과 같은 신기록이 세워졌다.
3. 1. 기존 기록
이 대회 전까지의 세계 기록과 올림픽 기록은 다음과 같았다.
이번 대회에서 다음과 같은 신기록이 세워졌다.
3. 2. 신기록
이 대회 전까지의 세계 기록과 올림픽 기록은 다음과 같았다.
이번 대회에서 다음과 같은 신기록이 세워졌다.
4. 경기 결과
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여자 1000m 경기는 예선, 준준결승, 준결승, 결승으로 진행되었다.
2월 9일 예선에서는 각 조 상위 2명과 각 조 3위 중 가장 빠른 4명이 준준결승에 진출했다. 최민정과 이유빈이 준준결승에 진출했고, 김아랑은 탈락했다. 쉬자너 스휠팅(네덜란드)은 올림픽 신기록을 세웠다.
2월 11일 준준결승에서는 각 조 상위 2명과 각 조 3위 중 가장 빠른 2명이 준결승에 진출했다.[1] 쉬자너 스휠팅이 세계 신기록을 세웠고, 최민정과 이유빈이 준결승에 진출했다.
준결승에서는 각 조 상위 2명이 결승 A그룹에, 나머지 선수들은 결승 B그룹에 진출했다.[1] 최민정은 3위였지만 전체 3위 중 기록이 빨라 결승 A그룹에 진출했고, 이유빈은 결승 B그룹으로 갔다.
결승 B그룹에서는 크산드라 펠제부르(네덜란드)가 5위, 이유빈이 6위를 차지했다. 결승 A그룹에서는 쉬자너 스휠팅(네덜란드)이 금메달, 최민정이 은메달, 하너 데스멋(벨기에)이 동메달을 차지했다.
4. 1. 예선
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여자 1000m 예선 경기는 2월 9일에 진행되었다. 총 8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각 조 상위 2명의 선수와 각 조 3위 선수 중 가장 빠른 4명의 선수가 준준결승에 진출했다.최민정은 1조에서 1분 28초 053의 기록으로 1위를, 이유빈은 5조에서 1분 27초 862로 2위를 기록하며 준준결승에 진출했다. 김아랑은 6조 3위를 기록했지만, 상위 기록 선수에 포함되지 못해 탈락했다.
2조에서는 쉬자너 스휠팅(네덜란드)이 1분 27초 292의 기록으로 올림픽 신기록을 세우며 1위로 통과했다.
4. 1. 1. 예선 결과 요약
순위 | 조 | 이름 | 국가 | 시간 | 비고 |
---|---|---|---|---|---|
1 | 1 | 최민정 | 1:28.053 | Q | |
2 | 1 | 셀마 파우츠마 | 1:28.115 | Q | |
3 | 1 | 안나 보스트리코바 | 1:28.290 | q | |
4 | 1 | 캐스린 톰슨 | 1:30.037 | ||
1 | 2 | 쉬자너 스휠팅 | 1:27.292 | Q, OR | |
2 | 2 | 한위퉁 | 1:27.401 | Q | |
3 | 2 | 코린 스토더드 | 1:27.528 | q | |
4 | 2 | 가미나가 시오네 | 1:28.465 | ||
1 | 3 | 취춘위 | 1:30.342 | Q | |
2 | 3 | 크산드라 펠제부르 | 1:30.454 | Q | |
3 | 3 | 그웬돌린 도데 | 1:31.734 | ||
4 | 3 | 코녀 조피어 | |||
1 | 4 | 아리안나 폰타나 | 1:30.066 | Q | |
2 | 4 | 기쿠치 스미레 | 1:30.154 | Q | |
3 | 4 | 올가 티호노바 | 1:56.438 | ||
4 | 4 | 소피야 프로스비르노바 | PEN | ||
1 | 5 | 마메 바이니 | 1:27.859 | Q | |
2 | 5 | 이유빈 | 1:27.862 | Q | |
3 | 5 | 장추퉁 | 1:27.910 | q | |
4 | 5 | 킴 부탱 | |||
1 | 6 | 코트니 사로 | 1:27.798 | Q | |
2 | 6 | 하너 데스멋 | 1:27.836 | Q | |
3 | 6 | 김아랑 | 1:28.680 | ||
4 | 6 | 기쿠치 유키 | 1:28.764 | ||
1 | 7 | 나탈리아 말리셰프스카 | 1:29.610 | Q | |
2 | 7 | 예카테리나 예프레멘코바 | 1:29.734 | Q | |
3 | 7 | 앨리슨 찰스 | 1:29.863 | ADV | |
4 | 7 | 티파니 위오마르샹 | PEN | ||
1 | 8 | 크리스틴 샌토스 | 1:28.237 | Q | |
2 | 8 | 야서파티 페트러 | 1:28.392 | Q | |
3 | 8 | 신시아 마시토 | 1:28.471 | ||
4 | 8 | 카밀라 스토르모프스카 | 1:28.567 |
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여자 1000m 예선 경기는 2월 9일 19시 44분에 시작되었다. 각 조의 상위 2명의 선수와 차순위 선수 중 기록이 좋은 3명의 선수가 준준결승에 진출했다.
4. 2. 준준결승
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여자 1000m 준준결승은 2월 11일에 진행되었다. 각 조 상위 2명의 선수와 각 조 3위 선수 중 가장 빠른 2명의 선수가 준결승에 진출했다. 1조에서는 쉬자너 스휠팅이 1분 26초 514의 세계 신기록(WR)으로 1위를 차지했고, 크산드라 펠제부르가 2위, 코린 스토더드가 3위를 기록했지만 전체 3위 중 가장 빨라 준결승에 진출했다. 2조에서는 이유빈과 마메 바이니가 각각 1, 2위를 차지했다. 3조에서는 아리안나 폰타나와 하너 데스멋이 준결승에 진출했다. 4조에서는 크리스틴 샌토스와 최민정이 1, 2위, 야서파티 페트러가 3위를 기록했지만 전체 3위 중 두 번째로 빨라 준결승 진출권을 획득했다.[1]4. 2. 1. 준준결승 결과 요약
순위 | 조 | 이름 | 국가 | 시간 | 비고 |
---|---|---|---|---|---|
1 | 1 | 쉬자너 스휠팅 | 1:26.514 | Q, WR | |
2 | 1 | 크산드라 펠제부르 | 1:26.592 | Q | |
3 | 1 | 코린 스토더드 | 1:27.912 | q | |
4 | 1 | 취춘위 | 1:28.355 | ||
5 | 1 | 한위퉁 | 1:31.638 | ||
1 | 2 | 이유빈 | 1:29.120 | Q | |
2 | 2 | 마메 바이니 | 1:29.225 | Q | |
3 | 2 | 예카테리나 예프레멘코바 | 1:29.434 | ||
4 | 2 | 안나 보스트리코바 | 1:30.021 | ||
5 | 2 | 나탈리아 말리셰프스카 | 1:48.908 | ||
1 | 3 | 아리안나 폰타나 | 1:29.324 | Q | |
2 | 3 | 하너 데스멋 | 1:29.388 | Q | |
3 | 3 | 코트니 사로 | 1:29.450 | ||
4 | 3 | 장추퉁 | 1:29.755 | ||
5 | 3 | 기쿠치 스미레 | 1:31.170 | ||
1 | 4 | 크리스틴 샌토스 | 1:28.393 | Q | |
2 | 4 | 최민정 | 1:28.722 | Q | |
3 | 4 | 야서파티 페트러 | 1:28.786 | q | |
4 | 4 | 셀마 파우츠마 | 1:29.077 | ||
5 | 4 | 앨리슨 찰스 | 1:30.161 |
2022년 2월 11일 금요일 19시 0분에 경기가 진행되었다.[1]
'''Q'''는 준결승에 진출한 선수를, '''q'''는 차순위로 준결승에 진출한 선수를, '''ADV'''는 피반칙으로 진출한 선수를, '''PEN'''은 페널티를 받은 선수를 의미한다.
4. 3. 준결승
준결승은 2개 조로 나누어 진행되었으며, 각 조 상위 2명의 선수가 결승 A그룹에, 각 조 3, 4위 선수와 5위 선수 중 기록이 좋은 선수가 결승 B그룹에 진출했다.[1]1조에서는 쉬자너 스휠팅 (네덜란드)과 하너 데스멋 (벨기에)이 결승 A그룹에 진출했고, 이유빈 (대한민국)은 결승 B그룹에 진출했다.[1]
2조에서는 크리스틴 샌토스 (미국)와 아리안나 폰타나 (이탈리아)가 결승 A그룹에 진출했다. 최민정 (대한민국)은 3위를 기록했지만, 준결승 2조 3위로 1:26.850의 기록을 세워 준결승 1조 3위 이유빈 (1:28.170)보다 기록이 빨라 결승 A그룹에 진출했다.[1]
4. 3. 1. 준결승 결과 요약
순위 | 조 | 이름 | 국가 | 시간 | 비고 |
---|---|---|---|---|---|
1 | 1 | 쉬자너 스휠팅 | 1:28.108 | QA | |
2 | 1 | 하너 데스멋 | 1:28.166 | QA | |
3 | 1 | 이유빈 | 1:28.170 | QB | |
4 | 1 | 마메 바이니 | 1:28.806 | QB | |
5 | 1 | 야서파티 페트러 | 1:28.827 | QB | |
1 | 2 | 크리스틴 샌토스 | 1:26.783 | QA | |
2 | 2 | 아리안나 폰타나 | 1:26.811 | QA | |
3 | 2 | 최민정 | 1:26.850 | QA | |
4 | 2 | 코린 스토더드 | 1:27.626 | QB | |
5 | 2 | 크산드라 펠제부르 | 1:27.777 | QB |
2월 11일 금요일 19시 57분에 경기가 진행되었다.[1]
- '''QA''' – 결승 A그룹에 진출
- '''QB''' – 결승 B그룹에 진출
- '''ADV''' – 피반칙으로 진출
- '''PEN''' – 페널티
4. 4. 결승
결승 B그룹에서는 크산드라 펠제부르(네덜란드)가 1:29.668로 5위, 이유빈(대한민국)이 1:29.739로 6위, 코린 스토더드(미국)가 1:29.845로 7위, 야서파티 페트러(헝가리)가 1:30.249로 8위, 마메 바이니(미국)가 1:30.736으로 9위를 차지했다.[1]결승 A그룹에서는 쉬자너 스휠팅(네덜란드)이 1:28.391로 금메달, 최민정(대한민국)이 1:28.443으로 은메달, 하너 데스멋(벨기에)이 1:28.928로 동메달을 차지했다. 크리스틴 샌토스(미국)는 1:42.745로 4위, 아리안나 폰타나(이탈리아)는 페널티를 받았다.[1]
4. 4. 1. 결승 B그룹
크산드라 펠제부르(네덜란드)는 1:29.668의 기록으로 5위를 차지했다.[1] 이유빈(대한민국)은 1:29.739로 6위를 기록했다.[1] 코린 스토더드(미국)는 1:29.845로 7위에 올랐다.[1] 야서파티 페트러(헝가리)는 1:30.249로 8위, 마메 바이니(미국)는 1:30.736으로 9위를 차지했다.[1]순위 | 이름 | 국가 | 시간 | 비고 |
---|---|---|---|---|
5 | 크산드라 펠제부르 | 네덜란드 | 1:29.668 | |
6 | 이유빈 | 대한민국 | 1:29.739 | |
7 | 코린 스토더드 | 미국 | 1:29.845 | |
8 | 야서파티 페트러 | 헝가리 | 1:30.249 | |
9 | 마메 바이니 | 미국 | 1:30.736 |
4. 4. 2. 결승 A그룹 (메달 결정전)
참조
[1]
웹인용
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 여자 1000m 일정
https://web.archive.[...]
2022-02-11
[2]
웨이백
예선 결과
https://olympics.com[...]
Olympics.com
2022-03-30
[3]
웹인용
준결승전 결과
https://web.archive.[...]
2022-02-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